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도시를 보는 색다른 시선

스스로 읽고 정리하는 독후감

by Tabris4547 2022. 5. 12. 22:32

본문

728x90

2020년 기준

현재 대한민국의 도시 거주인구는

전체 인구의

91.22%입니다.(행정구역기준)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는 도시.

하지만 도시라고해서

다 같은 도시가 아닙니다.

어떤 도시는 '살기 좋다'라는 평가가 있다면

어떤 도시는 '떠나고 싶다'라는 평가가 있죠.

왜 이런 차이가 생길까?

그건 공간에 대한 특성으로부터 옵니다.

이 책은 그런 공간에 따른 특성으로

도시를 조명한 책입니다.

이 책의 저자는

유튜브 셜록현준으로 유명한

유현준 교수입니다.

저도 유튜브로 셜록현준을 틈틈히 보는 입장에서

이 책이 상당히 눈에 띄었습니다.

이 책은 유튜브 내용을

글로 풀어쓴 부분도 많습니다.

유튜브는 생동감을 느낄 수 있고

책은 스스로 생각할 공간이 많은 차이가 있죠.

이 책은

'이벤트밀도'라는 개념으로

걷고 싶은 거리를 설명합니다.

이벤트밀도라는 말은 말 그대로

'거리에서 재미있는 이벤트가 일어나는 밀도'로서

단위거리당 상점출입구가 많은 거리일수록

이벤트 밀도가 높습니다.

이벤트 밀도가 높다는 것은

 

1. 보행자에게 권력이양

(보행자가 결정권이 많은 거리)

 

2. 변화의 체험을 제공한다

(조금만 걸어도 다양한 가계가 존재)

 

3. 매번 같은 곳을 가더라도

새로운 체험 가능성이 높음.

(매번 갈 때마다

다양한 가계를 들릴 수 있다)

 

이렇게 3가지를 의미합니다.

이걸 염두하고 보면

제가 왜 인사동거리를

강남대로보다 좋아하는지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일전에 강남대로를 걸어본 적이 있었습니다.

나무가 쭉 있고

차가 쌩썡 달리는 거리.

가도가도 끝이 없을 것만 같고

이 거리가 저 거리같은 반복성이 높다보니

지루하게만 느껴졌습니다.

인사동 거리는 이와 정 반대였습니다.

가계가 많다보니 지나갈 때마다

'다음에는 저길 가볼까?'

하고 머릿속으로 찜을 할 수 있고

가계가 많아서 뭔갈 할 게 많았습니다.

그러니 여러차례 친구들과 방문해도

여전히 새롭게 재미가 있었습니다.

이 책의 언어로 표현하면

'강남대로는 이벤트밀도가 낮고

인사동쌈짓길은 이벤트 밀도가 높다.

그래서 인사동이 더 걷는 데 좋은 거리다'

라는 의미로 해석이 되었습니다.

횡단보도에 대한 개념도

상당히 독특했습니다.

'무단횡단이 용납되는 거리'라는 게 있는데요.

유현준 교수는 4m라고 합니다.

4m정도 횡단보도 거리라면

신호등이 없어도

자유롭게 오가는 게 용납이 됩니다.

이런 특성이 잘 반영이 된 것이

바로 홍대 거리죠.

홍대거리를 가보신 분들이라면

그 근처거리가 오가기 좋게

횡단보도 없이도 오가게 되는

거리가 많다는 게 생각나실 겁니다.

거리의 왕래가 편안해지니

사람들이 걷는 것이 더 편안해지고

이에 따라 거리가 생기를 더 띌 수 있습니다.

제가 가장 이 책에서 신선하게 받아드린 개념은

'개방성'에 대한 부분입니다.

이 개념은 교회와 법당의 차이로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종교인이든, 비종교인이든,

비슷하게 느끼는 생각이 있습니다.

교회는 뭔가 주말에만 가야할 것 같고

비종교인은 들어가기 꺼려집니다.

반면 법당은

산에 올라가서 보이면

그냥 쓱 들어가보고

쉬어가기 좋은 느낌입니다.

심지어 교회를 다니는 사람도

주말 이외에는 거의 가질 않습니다.

반면, 법당은 일주일 내내

언제 가든 항상 열려있습니다.

이것은 구조물에서 오는

개방성의 차이 때문입니다.

교회는 폐쇄적인 느낌을 주어

외부인이 쉽게 들어가기 어렵습니다.

반면, 법당은 오픈되어있어

누구든지 쉽게 들어갈 마음이 들게합니다.

저는 교회를 다니는 사람으로서

이 개념이 참 센세이션했습니다.

'교회에서 복음을 널리 전한다고 이야기하는데

구조물이 복음을 전하기 어려운 역설적인 구조네'

이렇게 생각하면서,

구조물의 개방성이 사람들과의 관계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느끼게 되었네요.

 

사람은 위치에 따라 바뀌듯이

삶의 질도 공간에 따라 바뀝니다.

여러분들이 사시는 공간은

여러분들을 어떻게 만들어가나요?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